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마경
- 종경록
- 중아함경
- 잡아함경
- 정법화경
- 원각경
- 아미타불
- 무량의경
- 유가사지론
- 백유경
- 대반열반경
- 마하승기율
- 마하반야바라밀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증일아함경
- 금강삼매경론
- 대방광불화엄경
- Japan
- 수능엄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방광반야경
- 마명
- 장아함경
- 묘법연화경
- 반야심경
- 유마힐소설경
- 대승기신론
- 가섭결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지도론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2019/05 (65)
불교진리와실천
♥Italy ,Rome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Site 방문일자 불기 2563_0508_200315 [위치정보] Italy ,Rome Piazza del Colosseo Roma RM, 이탈리아 41.890747, 12.490980 ▶▶▶ [참조링크1]band.us ------- [로마 관련 사진 이미지] ▶▶▶ [참조링크6]www.google.co.kr 로마(이탈리아어: Roma)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라치오주의 주도이며, 테베레 강 연안에 있다.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
『대반야바라밀다경』 K0001 T0220 대반야바라밀다경 제51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핵심요약 ♣0001-514♧ 대반야바라밀다경 제514권_핵심 불기2563-05-08_대반야바라밀다경_514 Raphaël - Ne Partons Pas Fachés Karpatt - Leon Claude Dubois - Le Mangeur D'etoiles Pierre Perret - Pepe La Jactance http://buddhism007.tisto..
『불설반주삼매경』 K0068 T0417 불설반주삼매경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불설반주삼매경_K0068_T0417 핵심요약 ♣0068-001♧ 불설반주삼매경_핵심 불기2563-05-07 불설반주삼매경_K0068_T0417_001 Mireille Mathieu - Over The Rainbow Sylvie Vartan - Tous Mes Copains Michel Sardou - Vladimir Ilitch http://buddhism007.tistory.com/5785 ● [pt op ..
『현우경』 K0983 T0202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현우경』 ♣0983-001♧ 제1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 법문이 갖는 가치 3. 이범지수재품(二梵志受齋品) ○ 두 하늘의 광명의 연유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 어떤 두 하늘은 초저녁에 부처님께 나아갔다. 그들 몸의 광명은 기원(祇洹)을 밝게 비추었는데 모두 금빛 같았다. 부처님께서는 그들에게..
견도 [한문] 見道[범어] darśana-mārga ; dṛṣṭi-mārga[티벳] mthong ba’i lam[영어] the path of insight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견도 [한문] 見道 ↔수도(修道). 견제도(見諦道)라고도 함. 온갖 지식으로 잘못 아는 소견을 여읜 자리. 소승에서는 3현(賢)ㆍ4선근(善根)의 수행을 마치고, 세제일위(世第一位)의 직후 무루(無漏)의 지혜를 일으켜 16심(心)으로써 욕계와 색계ㆍ무색계의 4제(諦)의 이치를 관찰하고, 지식으로 잘못된 소견을 여의어 처음으로 성자(聖者)라 칭하는 위(位). 16심 가운데 앞에 15심은 견도(見道), 제16심은 수도(修道)라 한다. 대승 유식종(唯識宗)에서는 5위 중 통달위(通達位)에 해당, 가행위(加行位)의 맨 나중..
『대승대집지장십륜경』 K0057 T0411 대승대집지장십륜경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대승대집지장십륜경_K0057_T0411 핵심요약 ♣0057-001♧ 대승대집지장십륜경 제1권_핵심 불기2563-05-07 대승대집지장십륜경_K0057_T0411_001 Gérald De Palmas - Au Bord De L'eau Barbara - Les Deux Menetriers Jacques Brel - Les Marquises http://buddhism007.tistory.com/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