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하반야바라밀경
- 중아함경
- 수능엄경
- 마명
- 마하승기율
- 유마경
- 백유경
- 대지도론
- 가섭결경
- 방광반야경
- 대승기신론
- 대반야바라밀다경
- 묘법연화경
- 유가사지론
- 유마힐소설경
- 증일아함경
- 잡아함경
- 금강삼매경론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반야심경
- 정법화경
- 아미타불
- 대방광불화엄경
- 종경록
- Japan
- 원각경
- 무량의경
- 장아함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대반열반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진나 dignaga】 [한문]陳那 [범어]dignāga ; diṅnāga [티벳]phyogs (kyi) glang (po) [영어]dignaga】 디그나가 또는 딘나가의 음역. 불교의 논리학자, 유가행유식파의 논사. 480~540년경 생존. 남인도의 안달라국(案達羅國) 출신. 세친 보살의 노선을 계승하며,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을 저술하여 신인명(新因明)의 불교 논리학을 확립했다. 구구인(九句因)에 의해 인(因)의 3상(相)을 확립하고, 5지 작법을 3지 작법으로 개량함으로써 인명의 논리적 의의를 혁신했다. 또 유식학에서는 견(見), 상(相), 자증(自證)의 삼분설(三分說)을 세웠다. 호법(護法) 논사가 그의 노선을 계승한다. [저서]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관총상론송(觀惣相論頌), 무상사진론(無..
법천 [한문]法天 [영어]fa-t'ien 사람 이름. 중인도(中印度) 출신의 학승. 마갈다국의 나란다사(那蘭陀寺)에서 수학했다. 973년 송 나라 때 중국으로 들어갔으며, 역경에 종사했다. 982년 이후에는 대평흥국사(大平興國寺)의 역경원(譯經院)에 머물면서 수많은 경전을 번역했으며, 전교(傳敎) 대사라는 호를 받았다. 금강침론(金剛針論)을 비롯하여 총 46부 71권의 경론을 번역했다. [역서] 금강침론(金剛針論), 대방광총지보광명경(大方廣惣指寶光明經), 대한림성난라다라니경(大寒林聖難拏陀羅尼經), 묘법성염처경(妙法聖念處經), 묘비보살소문경(妙臂菩薩所問經), 무능승대명다라니경(無能勝大明陀羅尼經), 무능승대명심다라니경(無能勝大明心陀羅尼經), 보리심관석(菩堤心觀釋), 불설금강수보살항복일체부다대교왕경(佛說金剛手..
탑 [한문]塔 [범어]stūpa [티벳]mchod rten [영어]pagoda [한문]塔 【범】Stūpa 【팔】Thūpa 탑파(塔婆)라 음역. 도파(兜婆)ㆍ솔도파(窣都婆)ㆍ수두파(藪斗婆)ㆍ사투파(私偸簸)ㆍ소투파(蘇偸婆)라고도 음역. 방분(方墳)ㆍ원총(圓塚)ㆍ귀종(歸宗)ㆍ고현(高顯)ㆍ취상(聚相)이라 번역. 본래는 부처님 사리를 묻고, 그 위에 돌이나 흙을 높이 쌓은 무덤, 또는 묘(廟)를 말하는 것. 유골(遺骨)을 묻지 않고 다만 특별한 영지(靈地)임을 표시하기 위하거나, 또는 그 덕을 앙모하여 은혜를 갚고 공양하는 뜻으로 세워진 것은 제저(制底)ㆍ지제(支提)ㆍ질저(質底)라 하여 탑파와는 판연히 구별하였으나, 후세에는 두 가지를 혼용함. 탑을 만드는 것은 옛적부터 행하여졌으니 석존이 가섭불의 사리를 위하여..
자증분 [自證分] 사분(四分) 가운데 하나. →사분(四分 견분은 거울에 그림자를 나타내는 것과 같으므로, 이에 통각적(統覺的) 증지(證知)를 주는 작용이 필요하니, 이 작용을 자증분이라 함. 또, 자증분은 상분ㆍ견분의 근거인 뜻.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사분 [한문]四分 [영어]four divisions [관련용어] 상분(相分), 견분(見分), 자증분(自證分), 증자증분(證自證分) 호법,4분설(四分說),진나, 3분설, 난타, 2분설, , 안혜, 1분설이분가(二分家)ㆍ자체분(自體分) ○ [pt op tr]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사분 [한문]四分 [영어]four divisions [1]유식학(唯識學)에서 심(心)과 심소(心所)의 인식 작용을 상분(相分), 견분(見分), 자증분(..
삼단논법 => 인명 [한문]因明 [팔리]hetu-vijjā [범어]hetu-vidyā [티벳]gtan tshigs kyi rig pa [영어]indian logics [관련키워드] ●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삼단논법 >>> 삼단논법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삼단논법(三段論法)은 미리 알려진 두 판단에서 그것들과는 다른 하나의 새로운 판단으로 이끄는 추론 방법이다. 2개의 명제를 전제로 결론을 내는 대표적인 간접추론 형식이자 연역추론이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같은 추리가 대표적인 것이다. 결론에서 주어 '인간'을 소개념, 술어 '죽어야만 하는 것'을 대개념이라 하고, 소개념을 포함한 전제를 소전제(小前提), 대개..
인명 [한문]因明 [팔리]hetu-vijjā [범어]hetu-vidyā [티벳]gtan tshigs kyi rig pa [영어]indian logics 고대 인도에서 학문의 총칭인 5명(明)의 하나. 인도의 논리학. 스스로 깨닫기 위한 진리 탐구의 방법과 자기의 논지를 다른 사람이 납득하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후자를 위주로 한다. 논리를 세우는 형식상의 중심 요소는 종(宗), 인(因), 유(喩)이다. 논증하고자 하는 명제가 종, 이것을 성립시키는 이유가 인, 실례(實例)를 제시하여 종과 인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유이다. 이 중 인이 가장 중요하므로 인명이라고 한다. 원래 족목(akṣapāda)가 창설했다고 하며, 불교의 논사인 진나(陳那)에 이르러 체계적으로 완성되었다. [동]혜도비다(醯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