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마하반야바라밀경
- Japan
- 대반야바라밀다경
- 장아함경
- 정법화경
- 방광반야경
- 반야심경
- 가섭결경
- 유마힐소설경
- 아미타불
- 마하승기율
- 수능엄경
- 종경록
- 중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금강삼매경론
- 증일아함경
- 백유경
- 유마경
- 원각경
- 유가사지론
- 무량의경
- 대지도론
- 대반열반경
- 대방광불화엄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묘법연화경
- 마명
- 잡아함경
- 대승기신론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불교진리와실천
불기2563-02-24_수마제녀경_001 본문
『수마제녀경』
K0723
T0128
수마제녀경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pt op tr] 수마제녀경_K0723_T0128 핵심요약
♣0723-001♧
『수마제녀경』
월지국(月氏國) 우바새(優婆塞) 지겸(支謙) 한역
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원문번역문
수마제녀경
해제보기
수마제녀경(須摩提女經)1)
월지국(月氏國) 우바새(優婆塞) 지겸(支謙) 한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舍衛國) 왕사성(王舍城)에 계셨다.
한 장자가 있었으니 그 이름은 아나빈지(阿那邠池)이고,
그 장자의 딸 이름은 수마제(須摩提)였다.
그녀는 오랫동안 묘한 인(因)을 쌓아 천품이 기특하였고,
부처님의 높은 행을 받아서 깊숙하고 조용한 방에서 정심(靜心) 공부를 하고 있었다.
이때에 만부성(滿富城)에 사는 만재(滿財) 장자라는 사람이 멀리 여러 나라로 돌아다니며 훌륭한 며느릿감을 구하고 있었다.
그는 이 일로 인하여 사위성에 들어갔다가 빈지를 방문하였다.
그들은 여러 해만에 만난 우정을 나누며 반가움이 지극하였다.
이때에 수마제녀는 아버지의 친구가 찾아왔으므로 잠깐 나와서 절하고 인사를 드렸는데 얼굴과 자태가 모두 아름다웠다.
얼굴은 막 보름에 접어든 밝은 달과 같고 눈은 뭇 별이 한밤에 반짝이는 것 같았다.
만재가 빈지에게 말했다.
“이 처녀는 뉘 집 딸이요?”
빈지는 대답했다.
“이 아이는 바로 내 딸이오.”
만재가 이 말을 듣고 기뻐서 칭찬하였다.
“우리는 젊어서부터 사귀어 서로를 잘 알고 또 그 뜻은 서로 용납하지 못할 것이 없었소.
내게도 자식이 있어 며느릿감을 구하는 중인데 아직 정한 곳이 없소.
그대의 여식이 배필이 될 만한데 어떠하오?”
빈지는 대답하였다.
“혼사가 마땅치 않소.”
만재는 원망스러운 듯이 말했다.
“무슨 까닭으로 마땅치가 않단 말이오?
문벌이 당신 같지 않단 말이오,
사는 것이 당신 같지 않단 말이오?
■ 그대도 존귀한 집안에 부유하고 나 또한 존귀한 집안에 부유한데 무슨 까닭으로 마땅치 않소?”
빈지가 다시 말했다.
“내 딸은 밤이 새도록 염불하고 재계를 받들어 가지는데
그대의 집안에서는 외도의 신을 숭배하며 생물을 죽이고 고기와 피를 먹습니다.
이처럼 위하며 받드는 것이 같지 않으므로 혼사가 마땅치 않다는 것이오.”
만재가 다시 빈지에게 말했다.
“그대 집안이 섬기는 것에도 그대로 공양하고 우리 집안이 섬기는 것에도 그대로 공양하면 되지 않소.
섬기는 것이 같지 않더라도 각자가 좋아하는 대로 하면 그만 아니오?”
그때 빈지는 마음으로는 허락치 않았으나 물리치기도 어려워서 말하였다.
“내가 그대에게 요구할 것이 있소.
황금 만 근과 명주(明珠) 백 섬과
용의 간으로 예물을 하고
봉의 뼈로 책상을 만들어 주시오.
만일 그렇게 한다면 허락할까 하오.”
만재는 이 말을 듣고 뛸 듯이 기뻐하며 맹세하였다.
“나는 빠짐없이 준비할 수 있소.”
빈지는 다시 말했다.
“내가 희롱 삼아 한 말이지,
진심으로 한 말은 아니오.
먼저 부처님께 여쭈어 본 뒤에 가부를 말하기로 하겠소.”
빈지는 이때 부처님께 찾아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지금 딸아이 수마제가 만부성에 사는 만재 장자의 구혼을 받았습니다.
허혼을 하여야 옳습니까,
안 하여야 옳습니까?”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수마제녀가 그 나라로 시집간다면
반드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백성을 제도할 것이오.”
빈지가 이에 돌아와서 만재에게 말하였다.
“앞으로 15일 뒤에 그대 집안에서는 예법을 갖춰주시오.”
만재는 이 말을 듣고 기뻐하며 허겁지겁 서둘러 돌아갔다.
이때에 만부성과 사위성은 거리가 3천2백 리나 되었다.
만재가 성 중에서 수레 만승(萬乘)을 끌고 나오니
용마는 앞뒤로 따르고 수레 휘장은 구름 같이 너울거렸는데 그 소리는 땅을 울렸다.
또 찬란한 옷차림의 시녀들은 수레를 부축하고 아이 종들은 좌우로 호위하였다.
이때에 아나빈지는 딸을 위하여 열두 가지 보배로 수레를 만들었다.
먼저 붉은 연꽃 자리를 안에 깔고 마니(摩尼)로 밖을 덮고 황금을 겹겹으로 바르고 흰 은으로 줄을 늘어뜨렸다.
호박(琥珀)으로 아름다운 문양을 만들고
산호와 유리로 수레의 고리를 만들며 여러 빛깔의 마노(瑪瑙)를 수정 사이사이에 교대로 끼워넣고
비늘처럼 번쩍거리는 유리로 아름답게 꾸몄다.
다시 자마(紫磨)로 테두리를 두르고 현쇄(懸灑)를 겹겹으로 일으키니
이에 밝은 것과 밝은 것이 서로 반사하고 빛과 빛이 서로 비치어
멀리서 보는 사람은 동쪽에 있던 그림자가 모르는 사이 서쪽으로 기울어지고
가까이 보는 사람은 모르는 사이에 두 눈이 멀어버렸다.
■ 당시 만부성에는 옛날부터 법이 있었다.
만일 만부성의 여자가 다른 나라로 시집가면 중한 형벌을 당하고
다른 나라에서 아내를 들여도 또한 중한 형벌을 당하는 것이었다.
만일 이 법을 범하는 자는 6천 명의 범지(梵志)를 공양하되 뜻에 맞아야 했다.
범지가 먹는 음식은 돼지고기로 끓인 국과 세 번 빚은 술이라야 했다.
만재는 법을 범한 것을 스스로 알기 때문에
크게 여러 범지들을 청하여 넓은 뜰에 가득 모이게 하고는
수마제녀를 시켜 여러 범지에게 예를 올리게 하였다.
■ 수마제녀는 말하였다.
“제가 비록 여자이나 의지는 강하니 굽힐 수 없습니다.
이 범지의 무리는 소 새끼와 다름이 없습니다.
추하고 더러운 다섯 가지 형상으로 맛있는 것만 탐하고 즐기며 부끄러움과 염치가 없으니
짐승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저는 차라리 오올(五兀)의 형을 받아 몸을 훼손할지언정
이들에게 예를 올릴 수는 없습니다.”
이때 6천 범지는 이 말을 듣고 일제히 분노하였다.
“어느 곳에서 저런 보잘것없는 백성 집안의 종년을 데리고 와서는 우리를 모욕하는가?”
곧 자리를 파하고는 곳곳에서 사람을 모아 서로 약속해 말하였다.
“시일을 정하여 찾아와 만재와 5족(族)을 벌하고 베어 죽이자.”
만재는 이에 높은 다락에 문을 닫고 들어 앉아 하늘님을 불러가며 한탄하였다.
“어쩌다가 이런 며느리를 들여 우리 집안을 망치게 되었단 말인가.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풀어낼 방법이 없구나.”
이때 수발(須拔)이 다락 위로 날라와 만재의 근심하고 야윈 모양을 보고는 말하였다.
“그대는 도적을 맞았는가?
누군가 죽었는데 장사를 못 지냈는가?
무슨 까닭으로 그렇게 근심하는가?”
만재는 대답했다.
“누가 죽었거나 도적을 맞은 것이 아닙니다.
다만 일전에 며느리를 하나 들였는데 여러 도사(道士)를 모욕하여 죄가 5족에게 미치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근심을 하나 풀어낼 방법이 없습니다.”
이때 수발이 만재에게 말했다.
“그대가 어느 곳에서 며느리를 데려 왔는가?”
만재는 대답하였다.
“사위성 아나빈지의 딸입니다.”
수발은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라고 두려워하며 말했다.
“그대의 며느리가 지금 이곳에 왔으니 우리들은 장차 크게 복을 받을 것이오.”
만재는 물었다.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압니까?”
수발이 대답했다.
“나는 예전에 이름은 균두이고
나이는 겨우 3, 4세인 사리불의 가장 어린 사미와 함께
설산 북쪽에 이르러 밥을 빌어서 각각 한 발우를 얻었었다.
나는 높이 날라서 아뇩(阿耨) 못가에 이르렀는데
이때에 못 가에 있던 천ㆍ용 귀신들은 못을 지키며 나를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하였다.
이때에 균두 사미도 또한 날아왔다.
그러자 천룡 귀신들은 기뻐하여 ‘참 잘 오셨습니다’고 칭찬하며
금 책상에 앉히고 받들어 닦기를 정갈하게 하였다.
균두 사미는 잠깐 사이에 4공(空)을 뛰어넘어 본래 있던 곳으로 되돌아 왔다.
이 가장 어린 사미도 이런 신덕(神德)이 있으니 하물며 그들이 섬기는 대사(大師)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
만재가 물었다.
“그 대사를 만나볼 수 없겠습니까?”
수발이 대답했다.
“만일 그 대사를 만나고 싶다면 수마제녀에게 청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에 만재가 다락에서 내려와 경건한 마음으로 수마제녀에게 말했다.
“네가 섬기는 스승을 만나볼 수 있겠느냐?”
수마제녀는 말했다.
“만일 장자께서 마음을 돌리고 생각을 누그러뜨려
스스로 깊이 신통한 덕에 귀의(歸依)하신다면
제가 장자를 위하여 향과 분을 몸에 바르고 다락에 올라 멀리 부처님께 청하겠습니다.”
이때 수마제녀는 향과 기름을 몸에 바르고 높은 다락 꼭대기에 올라 멀리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소녀는 지금 곤란에 처해 여러 사도(邪道)의 압박을 당하고 있습니다.
원하옵나니 세존께서는 대자대비로 위태한 액화를 구제하여 주시옵소서.”
이에 향기는 구름같이 퍼져 기환정사(祈桓精舍:기원정사)에까지 이르렀다.
아난은 향기가 평상시에 보던 것이 아님을 보고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 이상한 향기는 어느 곳에서 오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향기는 부처를 부르는 향기이다.
지금 수마제녀가 만부성에서 여러 사도의 핍박을 받고는
이제 향기를 보내어 나와 그대들을 청하는 것이다.
빨리 종을 울리어 여러 사람을 보회당(普會堂)에 모이도록 하고 이렇게 말하라.
‘지금 수마제녀는 만부성에서 여러 사도의 압박을 받고 있는데
이제 향기를 보내어 부처님과 여러 사람을 청하고 있습니다.
만일 신통력의 변화를 얻은 자가 있거든 주(籌)를 받고 얻지 못한 자는 가만히 있으십시오.’”
이때 여러 사람 가운데에 주리반특가ㆍ부처님의 아들 라운(羅云:라후라)ㆍ수보리ㆍ사리불ㆍ가섭ㆍ목련 등이 있었지만
아직 구계(具戒)를 받지 못하였고
오직 균두 사미 한 사람만이 먼저 주(籌)를 받고 성인과 함께 갈 자로 뽑히었다.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 나라에는 반드시 밥을 익힐 만한 큰 그릇이 없을 것이니 건서(乾緖)를 보내어 가마솥을 지고 먼저 가게 하소서.”
건서는 비록 심부름하는 사람이었으나 5통을 갖추고 있었다.
등에 만 곡(斛)이 들어갈 만한 큰 가마솥을 지고 손에는 백 곡(斛)이 들어갈 만한 큰 국자를 들고 몸을 솟구쳐 높이 날아서 곧장 그 나라로 향하였다.
이때에 만재는 다락 위에서 멀리 바라보다가 수마제녀에게 물었다.
“내가 보니 한 사람이 등에 만 곡이 들어갈 만한 큰 가마솥을 지고 손에는 백 곡이 들어갈 만한 큰 국자를 들고 공중으로 날아오고 있다.
저 분이 너의 스승이 아닌가?”
수마제녀가 말했다.
“그는 나의 스승이 아닙니다.
그는 대중의 심부름꾼인데 이름은 건서입니다.
세존께서 오시려고 가마솥을 지고 먼저 가게 하신 것입니다.”
이때 균두 사미는 그 다음으로 5백 그루의 꽃 나무를 신통 변화로 만들어 그 위에서 가부좌(加趺坐)를 하고 몸을 솟구쳐 높이 날아서 또한 그 나라로 향하였다.
만재가 다락 위에서 멀리 바라보고 수마제녀에게 물었다.
“내가 보니 5백 그루의 꽃 나무 위에 사람이 가부좌를 하고 허공으로 날아오고 있다.
저 분이 너의 스승이 아닌가?”
수마제녀가 말했다.
“그는 나의 스승이 아닙니다.
그는 사리불의 가장 어린 사미로서 이름은 균두입니다.”
주리반특가가 그 다음에 5백 마리의 사자(獅子)를 신통 변화로 만들었는데 소리를 높여 포효하며 날았다,
떨어졌다,
달렸다,
엎드렸다 하였다.
그는 그 위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솟구쳐 높이 날아 곧장 그 나라로 향하였다.
만재가 다락 위에서 멀리 바라보고 수마제녀에게 물었다.
“내가 보니 5백 마리의 사자가 소리를 높여 포효하며 날았다,
떨어졌다,
달렸다,
엎드렸다 하는데 사람이 그 위에 가부좌를 하고 허공으로 날아오고 있다.
저 분이 너의 스승이 아닌가?”
“그는 나의 스승이 아니고 여래의 제자 주리반특가입니다.”
부처님의 아들 라운이 그 다음에 신통 변화로 5백 마리의 금시조를 만들어 그 위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솟구쳐 높이 날아 곧장 그 나라로 향하였다.
만재가 다락 위에서 멀리 바라보고 수마제에게 물었다.
“내가 보니 5백 마리의 금시조 위에 사람이 가부좌를 하고 허공으로 날아 오고 있다.
저 분이 너의 스승이 아닌가?”
수마제녀가 말했다.
“그는 나의 스승이 아닙니다.
여래의 제자 부처님의 아들 라운입니다.”
수보리가 그 다음으로 5백 마리의 코끼리를 신통 변화로 만들었는데 모두 여섯 어금니가 있고 금 안장이 덮여 있었다.
그는 그 위에 가부좌를 하고 몸을 솟구쳐 허공에 올라 또한 그 나라로 향하였다.
만재가 다락 위에서 멀리 바라보고 수마제녀에게 물었다.
“내가 보니 여섯 어금니가 있고 금 안장을 덮은 5백 마리의 코끼리 위에 사람이 가부좌하고 허공으로 날아오고 있다.
저 분이 너의 스승이 아닌가?”
“그는 나의 스승이 아니라 여래의 제자 수보리입니다.”
목련이 그 다음에 신통 변화로 칠보산(七寶山)을 만들어 그 위에 가부좌하고 몸을 솟구쳐 높이 날아 곧장 그 나라로 향하였다.
만재가 다락 위에서 멀리 바라보고 수마제녀에게 물었다.
“내가 보니 칠보산 위에 사람이 가부좌하고 허공으로 날아오고 있다.
저 분이 너의 스승이 아닌가?”
수마제녀는 말했다.
“그는 나의 스승이 아니라 여래의 제자 신족(神足) 목련입니다.”
상좌 대가섭이 그 다음에 신통 변화로 5백 마리의 큰 용을 만들었는데 모두들 일곱 개의 머리가 있고 대낮에 하늘로 올라갔다.
그는 그 위에 가부좌하고 몸을 솟구쳐 높이 날아 곧장 그 나라로 향하였다.
만재가 다락 위에서 멀리 바라보고 수마제녀에게 물었다.
“내가 보니 머리가 일곱인 5백 마리의 큰 용이 대낮에 하늘에 올라 허공으로 날아오고 있다.
저 분이 너의 스승이 아닌가?”
수마제녀가 말했다.
“그는 나의 스승이 아니라 여래의 제자 상좌 대가섭입니다.”
이때에 수마제녀가 장자를 위하여 게송으로 말했다.
우리 스승님 이제 꼭 오시리니
그 광명은 이들과 견줄 수 없습니다.
장자여,
일심으로 염불하시고
다른 생각일랑 품지 마소서.
이때 여래께서는 중생들의 마음이 지극하여 시운이 장차 모일 것을 알고 몸에 승가리를 입고 땅에서 다라수(多羅樹) 높이의 일곱 배나 되는 허공에 오르시니 몸 빛이 붉은 금과 같아서 고운 광채가 공중에 반사되었다.
아야거린(阿若車隣:
아야교진여)은 여래의 왼편에 서고 사리불은 여래의 오른편에 섰으며,
아난도 부처님 위신(威神)을 받들어 또 여래의 왼편에 섰다.
그 나머지 비구들도 백천만 가지로 신통 변화의 상(相)을 나타내며 허공에 가득 차서 구름처럼 움직여 그 곳에 이르렀다.
아야거린은 변화하여 월천자(月天子)가 되고 사리불은 변화하여 일천자(日天子)가 되었다.
나머지 비구들도 혹은 변화하여 제두뢰타(提頭賴吒:지국천왕)가 되고
혹은 변화하여 비루륵차(比樓勒叉:증장천왕)가 되고 혹은 변화하여 아수라왕ㆍ건달바왕이 되어 북을 울리고
군사를 부리며 항하의 모래처럼 부옇게 일어났다.
아수륜은 동상장군(東廂將軍)에 해당하는 정마후(征魔候)가 되고
전륜성왕은 서상장군(西廂將軍)에 해당하는 정마공(定魔公)이 되고
건달바왕은 백억(百億) 귀병(鬼兵)을 손아귀에 쥐고 후군의 순라 임무를 맡았다.
석천왕은 외군도록(外軍都錄)이 되고 범천왕은 중군도록(中軍都錄)이 되고
문수사리는 여래의 광부대신(匡部大臣)이 되어 안팎을 통솔하며
여러 군사를 거느려 정제하고 한마음 한 뜻으로 일어났다.
밀적역사는 손에 금강저(金剛杵)를 잡고 여래의 좌우를 호위하고 천마 파순은 손에 유리 거문고를 잡고 큰 법을 찬양하였으며 비사문왕은 손에 큰 칠보(七寶) 일산을 들고 여래의 위에 머물고 나머지 현성(賢聖)들은 모두 허공에서 풍악을 연주하였다.
이때 여래께서도 또한 백 천만 가지로 신통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고 백 천만 가지 소리로 땅을 울리셨다.
이때에 다시 신통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어 혹은 화왕삼매(火王三昧)에 들어가 연기를 날리고 불꽃을 날리기도 하고
혹은 수왕삼매(水王三昧)에 들어가 모래를 날리고 물결을 솟구치기도 하고
혹은 다시 변화하여 우레와 번개가 되기도 하고
혹은 서리를 흩뿌리며 쏟아지는 우박이 되기도 하셨다.
이때에 시방(十方)에 구름이 돌며 천지가 기울어지자
모든 강물은 서쪽으로 거슬러 흘렀고 떠 있던 태양은 동쪽으로 사라졌다.
성인의 능력이 이와 같았으니 어디를 간들 항복하지 않는 이가 있으리요.
이때 6천 외도는 높은 신통 변화에 항복하였고
수마제녀는 법안통(法眼通)을 얻고
낭성(朗城) 안의 8만 4천 인민이 동시에 도를 얻었다.
이때 여래께서는 도로 성중(聖衆)을 거두어 이끌고 기환정사에 이르시자
■ 아난이 무릎을 꿇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수마제녀는 어떤 인연으로 항상 부잣집에 태어났고
다시 사도(邪道)의 그물 속에 빠지게 되었습니까?
여자의 몸을 바꾸지 않고 이제 법안(法眼)을 얻었으며,
성중의 인민들도 모두 도를 얻게 되었습니까?
원컨대 세존께서 그 지나간 인(因)을 말씀하여 주시옵소서.”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자세히 들으라.
너희들을 위하여 설명하겠다.
■ 옛날 과거 가섭부처님 시대에 한 왕녀(王女)가 있었다.
그녀는 높은 다락 위에서 큰 맹세와 큰 소원을 발하였다.
‘저를 항상 큰 부잣집에 태어나게 하시고,
태어나는 곳곳마다 항상 부처님을 만나고
중생에게 보시하며 마음이 변하지 않게 하소서.
여자의 몸을 바꾸지 않고 곧 법안을 얻게 하여 주시고,
성중의 백성들도 일제히 큰 맹세를 발하고
다들 모여 큰 재계를 받들어 공을 쌓고 덕을 모으게 하여 주소서.’
이 인연으로 그녀는 지금 나를 만나게 되었고 동시에 모든 사람들을 제도하게 된 것이다.
■ 그러하니 아난아,
장래의 큰 소원을 발하지 않을 수 없고
들은 자는 돕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 때의 왕녀는 지금의 수마제녀가 바로 그 사람이고,
성중의 백성은 지금의 8만 4천 사람이 바로 그들이다.”
비구승과 비구니와 우바새와 우바이와 여러 천ㆍ용왕 등 팔부는 이 경을 듣고 기뻐하여 받들어 행하고 예를 올렸다.
-------------
1 『수마제녀경』은 고려대장경본과 송ㆍ원ㆍ명 3본이 내용상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고려본을 저본으로 하여 번역하고,
뒤에 따로 명본(明本)을 저본으로 하여 번역하였다.
○ [pt op tr]
mus0fl--Eric Morena - Oh Mon Bateu.lrc
오늘 살피는 『수마제녀경』은 내용이 그렇게 복잡하지않다.
아나빈지(阿那邠池)라는 장자의 딸인 수마제가 이웃 나라에 시집을 갔다.
그 이웃나라는 아직 부처님을 모시지 않고 외도를 섬기는 곳이었다.
그런데 수마제녀가 시집을 가서 외도를 섬기는 것을 거부한다.
그래서 위험에 처할 뻔 했다.
그런데 부처님과 부처님 제자들이 그곳을 방문해 신통을 보여
그곳 사람들을 모두 교화시키게 되었다.
이런 간단한 내용이다.
현실에서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수행에 임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이런 경우마다 불제자들이 경전에 나오는 것처럼 신통력을 선보이면 효과가 좋을 듯 하다.
예를 들어 불치의 병을 바로바로 기적적으로 낫게 해주거나
중생들이 갖는 온갖 소원을 바로바로 성취시켜 주는 능력을 보인다.
그러면 그에 따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실천하기가 쉬울 것 같다.
그런데 우선 수행자가 그런 상태에 이르기가 말처럼 쉽지 않다.
그리고 그렇게만 임하면 그로 인한 부작용도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중생을 제도 함에 있어서는
수행자가 필수적으로 일정한 방편지혜와 함께
다라니, 삼매, 신통력을 구족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만은 사실이다.
경전에서 나오는 수마제와 아버지인 아나빈지(阿那邠池)는 누구인가.
불교사전을 참조하면 아나빈지는 다음 인물로 나온다.
아나빈지(阿那邠池)
아나빈저[Chn]阿那邠邸[Pali]anāthapiṇḍika[San]anāthapiṇḍada[Tib]mgon med zas byin[Eng]anathapindada
[mean]아나타핀다다의 음역. 사람 이름. 석가모니에게 귀의했던 사위성의 장자(長者).
빈궁자를 돕는 데 헌신했기 때문에 급고독(給孤獨) 장자라는 별칭으로 불렸다.[ref][k]수달[c]須達
이 분은 경전 곳곳에서 수달장자로 자주 등장한다.
이 분은 당시 대단한 재력가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인도에서 수달장자의 저택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한다.
그 흔적을 보면 지금처럼 물질 문화가 발달한 상황을 기준으로 놓고 보아도 보통 부자가 아니었음을 볼 수 있다.
인도란 곳이 지금도 그렇게 부자 나라는 아니다.
그러나 어느 나라 어느 시대건 부자는 또 사정이 다르다.
최근 인도에서 어느 집안의 딸이 결혼하였다.
그런데 국내 모 재벌회장도 그 잔치에 초청받아 참석했다.
그리고 미국과 같은 곳의 유명인들도 역시 그렇게 초청해 참석했다고 전한다.
그런데 그렇게 되는 사정은 초청을 받고 무시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경전에 나오는 수달장자의 상태는 당시 그정도 부를 소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정사는 경전에서 자주 부처님이 설법한 장소로 나온다.
그런데 수달장자가 기수태자와 함께 이 기원정사를 공양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기수급고독원은 현재도 그 유적지가 남아 있다.
그 규모도 역시 오늘날을 기준으로 보아도 역시 대단하다.
이 기원정사터를 처음 수달장자가 구입할 당시
그 터를 소유한 이는 그 나라 태자였다.
그런데 태자가 그곳을 팔지 않으려 했는데
결국 그 터에 황금을 깔고 그 터를 구해서 당시 정사로 만들어 기증했던 인물이다.
물론 그렇게까지 해 기증하려는 사정을 기수태자가 알게 된다.
그래서 원래 구하려고 한 일부분을 기수태자가 부처님에게 기증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는 수달장자가 황금을 깔아 구매한 다음 기증해서
그 정사 이름이 기수급고독원이라고 이름붙여졌다.
그래서 수달장자는 당시 상상을 초월한 부자였음을 미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마제녀는 이 수달장자 즉 아나빈저의 딸이다.
수달장자가 이렇게 대단한 부자였다.
그런데 또 다른 측면에서 상당히 존중받을 만하였음을 경전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일단 수달장자는 그당시 부처님을 만나기 전부터
널리 가난하고 헐벗은 어린이나 과부들을 돌보는 일에 헌신했다.
그래서 이 수달장자의 별칭은 급고독장자라고 불렸다.
또 하나 사실은 수달장자가 그렇게 부유하고 지위가 높은데
그러나 수달장자가 고용하는 이들에 대한 대우도 특별했다고 전한다.
즉, 다른 이가 수달장자 집에 일단 고용이 되면
입는 옷이나 먹는 음식 그리고 잠자는 곳을
모두 이 수달장자와 똑같은 상태로 공급받았다고 한다.
오늘날 부자도 자신의 집에 운전하는 이를 고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정원사도 고용하고 음식을 준비하는 이도 고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업을 위해 사람들을 고용하고 사업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자신이 고용한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나 자세가
사회에서 갑을 관계로 횡포를 부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회문제가 되어 보도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인도는 과거에도 카스트제도에 의한 신분차별이 극심하고 지금까지도 그 잔재가 여전히 남아 있다.
그런데 기원전 600 여년전에 수달 장자는
자신이 고용하는 이들을 모두 그처럼 대우하고 임했다.
그리고 자신의 집에서 살아가는 이는
모두 나 자신과 함께 하늘에 올라가야 한다고 선언했다고 한다.
그리고 평소 그런 취지로 임했다고 한다.
그래서 보통의 단순한 부자가 아니었음을 볼 수 있다.
요즘도 직접 인도로 가는 것이 마음처럼 쉽지 않다.
그러나 요즘은 다행히 구글 여행사를 통해 인도 풍광을 구경하는데 1 분이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몇 몇 장소는 방문도 할 수 있다.
요즘 본인이 이곳 저곳에서 이런 시공간 여행 방안을 소개중이다.
종전에 구글 여행사를 통해 이곳을 방문해
페이지로 정리한 적이 있다.
다음 페이지다.
http://buddhism007.tistory.com/4652
참고 자료 사진을 소개한다.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개인적으로 이렇게 시공간여행 기념사진을 갖는 것은 좋다고 본다.
그러나 인터넷에 공개할 때는 배경 사진의 사용권한 범위를 잘 참조하고 올려야 한다.
다행히 이 사진은 이런 내용을 허용한다.
각 경우 조건문을 잘 봐야 한다.
from https://en.wikipedia.org/wiki/File:Sravasti-gandhakuti.jpg
- to share – to copy, distribute and transmit the work
- to remix – to adapt the work
- attribution – You must give appropriate credit
이런 부분이다.
◈Lab value 불기2563/02/24 |
댓글내용 요즘 조금 연구에 게을리하고 있다. 며칠전 살피던 『잡아함경』부터 정체되었다. 그러나 쉬면서 또 연구를 계속 해나가야 한다.
그래서 자꾸 다시 읽어서 표현을 고칠 필요가 있다. |
문서정보 ori
http://buddhism007.tistory.com/5407#6857 |
'조각글백업이전대상-256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기2563-03-03_대보적경_049 (0) | 2019.03.03 |
---|---|
불기2563-02-28_무진의보살경_001 (0) | 2019.02.28 |
불기2563-02-20_잡아비담심론_004 (0) | 2019.02.20 |
불기2563-02-19_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_001 (0) | 2019.02.19 |
불기2563-02-18_잡아함경_001 (0) | 2019.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