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금강삼매경론
- 원각경
- 대반열반경
- Japan
- 수능엄경
- 유마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유마힐소설경
- 증일아함경
- 무량의경
- 마명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종경록
- 중아함경
- 가섭결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정법화경
- 유가사지론
- 잡아함경
- 방광반야경
- 아미타불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묘법연화경
- 대승기신론
- 대지도론
- 마하승기율
- 장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
- 백유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사선근 [한문]四善根 [범어]kuśalamūla [티벳]dge ba'i rtsa ba [영어]four good roots 수행 계위 중 네 가지. 난위(煖位), 정위(頂位), 인위(忍位), 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 등. 무루지(無漏智)의 견도(見道)에 이르기 전의 수행 단계.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사선근 [한문]四善根 사선근위(四善根位)라고도 함. 사가행위와 같음.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2018_1024_172952_nik_Ar28_s12 부여 고란사 ○ 2018_1023_161425_nik_AR2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0907_135734_can_ab41 양산 통도사 ○ 2019_1104_131657_can_bw0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
【용어 타이틀 및 기본설명부분】 ❋추가참조 ◎[개별논의] 【십력】 [한문]十力 [범어]daśa-bala [티벳]de bzhin gshegs pa'i stobs bcu [영어]the ten powers [1]부처가 갖추고 있는 열 가지 힘. 소승(小乘)에서는 18불공법(不共法)의 하나로, 대승에서는 140불공법의 하나로 꼽는다. 처비처지력(處非處智力), 업이숙지력(業異熟智力), 정려해탈등지등지지력(靜慮解脫等持等至智力), 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종종승해지력(種種勝解智力), 종종계지력(種種界智力), 편취행지력(遍趣行智力), 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사생지력(死生智力), 누진지력(漏盡智力) 등. [2]보살이 갖추고 있는 열 가지 힘. 심심(深心), 심신(深信), 대비(大悲), 대자(大慈), 총지(總持), ..
유루법_위키백과 sāsrava-dharma ==> 관련 페이지 ꊱ유루법 ‡유루법 ω유루법 [위키백과 해당 페이지] 참조일 / 불기2564-10-21 유루와 무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루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다.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다.[1][2] 누(漏, 산스크리트어: āsrava)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흐르다' 또는 '새어 나오다'이다.[3][4] 누(漏)는 인간이 번뇌 때문에 각종의 악업을 행..
삼무성론 [한문]三無性論 2권. K-622, T-1617.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 Paramārtha)가 557년에서 569년 사이에 제지사(制旨寺)에서 번역하였다. 호법(護法)의 신유식설 이전의 고(古)유식설에 의거하여 삼성 삼무성설(三性三無性說)을 설명한 논서이다. 그 내용은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의 「성무성품」과 동일하며, 게송을 제외한 석론(釋論) 부분에 대한 이역이다. 인공(人空)을 설하는 것은 잘못된 법을 깨뜨리기 위함이고, 법공(法空)을 설하는 것은 올바른 법을 세우기 위함인데, 법공을 드러내기 위하여 제법의 무자성을 설한다. 일체의 모든 법은 3성(性)을 벗어나지 않는데, 그것은 분별성(分別性)ㆍ의타성(依他性)ㆍ진실성(眞實性)이다. 이 3성에 따라서 3무성(無性)을 설하는데, 분별..
●변중변론 [한문]辯中邊論 【범】Madhyāntavibhāṅgabhāṣya. 3권. K-601, T-1600.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61년 6월에 옥화사(玉華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중변론』이라고 한다. 대립하는 2변(邊)을 지양한 중도(中道)의 의의를 분별해서 논한 것이다. 세친(世親)이 저술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게송( 『변중변론송』) 부분은 무착(無着)이 미륵(彌勒)에게 받아 세친에게 전한 것이고, 장행 즉 산문 부분만 세친이 지은 것이다. 송(頌)은 본래 변상품(辯相品)ㆍ변장품(辯障品)ㆍ변수대치품(辯修對治品)ㆍ변수분위품(辯修分位品)ㆍ무득과품(無得果品)ㆍ변무상승품(辯無上乘品)의 7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7품을 차례로 해석하여 3권으로 만든 것이 이 책이다. 이역본으로는 진제의..
번뇌 위키백과 공부연구용 스크랩 일자 불기2564-06-24 DICT--번뇌https://buddhism007.tistory.com/12539sfx--dict/번뇌.txtsfd8--불교용어dic_2564_06.txt ☞◆vhqe8059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ffliction.htmlhtmback--번뇌_불기2564-06-24-Tis.htm [한글 위키백과 스크랩 1] https://buddhism007.tistory.com/12#affliction-cf0 sfx--dict/번뇌_cf0.txt ☞ sfd8--기타_2556_06.txt ☞◆affliction-cf0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fflic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