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대지도론
- 원각경
- 유가사지론
- 종경록
- 증일아함경
- 대방광불화엄경
- 백유경
- 무량의경
- 묘법연화경
- 유마경
- Japan
- 수능엄경
- 아미타불
- 금강삼매경론
- 유마힐소설경
- 방광반야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승기신론
- 잡아함경
- 대반열반경
- 장아함경
- 마하승기율
- 마명
- 반야심경
- 중아함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정법화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가섭결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추가참조 ◎[개별논의] 도선 [한문]道宣 [영어]tao-hsuan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도선 1 도선[한문]道宣[영어]tao-hsuan 사람 이름. 596~667년 생존. 중국 남산 율종(律宗)의 종조(宗祖)로서 오흥(吳興) 출신. 17세 때 삭발 출가한 이래로 지수(智首) 율사에게 비구계를 받고 율전(律典)을 배웠다. 624년에 종남산 방장곡(倣掌谷)에 들어가 백천사(白泉寺)를 짓고 계율을 엄하게 지키며 선을 닦았으며, 남산 율사라고 불렸다. 645년 정관 19년에 현장(玄奘) 스님이 귀국하여 홍복사에서 역경 사업을 진행할 때, 감문가(勘文家)로서 수백 권의 율부와 전기를 저술했다. 사분율산번보궐행사초(四分律刪繁補闕行事鈔) 3권, 사분율십비니의초(四分律拾毘尼義鈔) 3권 등을 찬술했으며..
❋추가참조 ◎[개별논의] 육화경 [한문]六和敬 [영어]the six points of reverent harmony 수행자들이 행위나 견해 등에서 서로 화합하며 공경하는 것을 여섯 가지로 나눈 것. 1, 신(身) 화경 : 어떤 행동을 할 때나 신업(身業)을 지을 때 공경을 다하며 함께 화합하는 것. 2, 구(口) 화경 : 염송(念誦)을 비롯하여 구업(口業)을 지을 때 함께 화합하는 것. 3, 의(意) 화경 : 신심(信心)을 비롯하여 의업(意業)을 지을 때 함께 화합하는 것. 4, 계(戒) 화경 : 계법(戒法)을 함께 지니는 것. 5, 견(見) 화경 : 교법에 대한 견해를 함께 하는 것. 6, 이(利) 화경 : 의복, 음식 등을 나누고 쓰는 데에 화합하는 것. 여섯 가지의 내용은 경전에 따라 그 순서나 내..
대보적경 [한문]大寶積經 ❋본문 ◎[개별논의] 당 나라 때 보리류지(菩提流志)가 번역. 총 120권으로 이루어져 있음.[alias]대보적경.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2018_1025_162628_can_ar24 ○ 2018_1025_164833_nik_bw0_s12 ○ 2020_0224_111922_nik_ar14 ○ 2020_0224_115517_nik_AB4_s12 ○ 2020_1126_161059_nik_BW17 ○ 2020_1126_160652_nik_BW17 ○ 2020_1126_153218_nik_ar24 ○ 2020_0224_115213_nik_ct6 ○ 2018_1025_160908_can_Ab35 ○ 2020_1126_155811_nik_AB7_s12 ○ 2018_102..
대방광불화엄경 ❋추가참조◎[개별논의] [한문]大方廣佛華嚴經 대방광불화엄경[한문]大方廣佛華嚴經 화엄경(華嚴經)이라고 줄여서 말함.[alias]대방광불화엄경.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한문]大方廣佛華嚴經 【범】(Buddha)avataṃsakasūtra. 줄여서 『화엄경』이라 함. 크고 방정(方正)하고 넓은 이치를 깨달은 부처님의 꽃같이 장엄한 경이란 뜻. 60권본, 80권본, 40권본(입법계품만)의 세 가지가 있다. 80권. K-80, T-279. 당(唐)나라 때 실차난타(實叉難陀, Śikṣānanda)가 695년에 동도(東都)의 변공사(遍空寺)에서 번역을 시작하여 699년에 낙양(洛陽)의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끝마쳤다.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신역화엄경(新譯華嚴經)』ㆍ『팔..
이통현 [한문]李通玄 [영어]li t'ung-hsüan 중국 당 나라 때 화엄종의 재가 학자.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의 저자. 735~730년 생존. 태원(太原)의 동북에 살았으며, 황실의 혈통이라고 하지만 그 계보가 불확실하다. 자연을 좋아하고 박학하여 불교와 유학에 정통했다. 세속과 별리된 수행자의 생활로 연구에 전념한 것으로 유명하며, 약석신화엄경수행차제결의론(略釋新華嚴經修行次第決疑論) 4권도 저술했다. 96세에 타계했다. 후세에 화엄 7조(祖) 4사(師) 중의 한 사람으로 추앙되었다. [동]이장자(李長者).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한문]李通玄 화엄종. 당나라 사람. 향관(鄕關) 불명. 혹은 당나라 종실(宗室)이라고도 하고, 사람들이 물으면 창주 사람이라고 답하였음. 키가 7척 2촌..
반야등론석 다음 페이지 참조 => ꊱ반야등론 ‡반야등론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prajnaapradipa-tiikaa.html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반야등론석 [문서정보] 페이지 키워드 [ 관련키워드 ] [ 참조] ○ 2020_0525_170848_can_ct27 ○ 2020_0606_141247_can_bw28 ○ 2018_0419_132409_can_exc ○ 2020_0525_165342_nik_ct27 ○ 2018_0419_130954_can_exc ○ 2018_0419_133017_can_ab26 ○ 2020_0606_193323_can_bw17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