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대반열반경
- 백유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유마경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
- 증일아함경
- 대승기신론
- 무량의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마하승기율
- 방광반야경
- 대지도론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종경록
- 묘법연화경
- 유마힐소설경
- 잡아함경
- Japan
- 마명
- 장아함경
- 금강삼매경론
- 유가사지론
- 가섭결경
- 수능엄경
- 원각경
- 정법화경
- 아미타불
- 중아함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전체 글 (3110)
불교진리와실천
[ 요약 ] ● 세속의 번뇌와 열반의 갈림길-5정심 ○ 5정심관은 가장 기초적인 수행방안이지만, 열반에 이르게 하는 가장 중요한 수행방안이다. ● 불교의 5정심관은 불교에서 제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행방안이다. 그런데 이 5 정심관의 수행방안을 택해 사는가 그렇지 않은가가 바로 세속의 번뇌에 묻혀 사는가 그렇지 않은가의 중요한 최초 갈림길이 된다. ○ 세속의 일반적인 모습은 우선 다음과 같다. 우리는 보통 자신이 건강하고 행복한 가운데 자신의 희망이 모두 뜻대로 이뤄지는 삶을 꿈꾸며 산다. 예를 들면 건강하고 장수를 누리면서 즐거움을 향유하고, 높은 지혜와 지식 학문을 갖추고 아름다운 용모와 원만한 인격을 갖추고 좋은 직업을 갖고 수많은 재화를 갖고 물질적으로 호화롭고 풍요롭게 살면서 좋은 인간관계를 형..
대승 공관이란, 일체 현상이 모두 공함을 관하고 일체 현상에 분별과차별 집착을 일으키지 않는 관을 일컫는다. 그래서 극단적으로는 선도 내려 놓고 악도 내려 놓고 모든 분별을 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대승적인 수행방안은 그러나 제악막작 중선봉행 으로 표현되는 기본 불교수행법과 상충된다고 이해할 여지가 있다. 또 지금 살피는 불교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5정심관이라는 수행방안과도 상충된다고 이해할 수가 있다.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란 3세 모든 부처님의 공통된 가르침이라고 일컬어지는 내용으로 모든 악은 행하지 말고 모든 선을 행하며 스스로 그 뜻을 깨끗이 하라는 가르침이다. 또 5정심관이란 부정관, 자비관, 인연관, 수식관, 계분별관(념불관)을 말하는데 탐욕을 일으키는 내..
- 자비관의 사용 - 약초와 음식은 냉병(冷病)에는 약이 되지만 다른 병에는 약이 되지 않는 것과 같이, 불법에서 마음의 병을 다스리는 것도 그와 같아서 부정관(不淨觀)을 생각하는 것은 탐욕의 병에는 좋은 대치방법이 되지만 성내는 병에는 좋다고도 할 수 없고, 대치방법도 되지 않는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몸의 허물을 관찰하는 것이 부정관인데 성낸 사람이 그 허물을 관찰하면 성남의 불길이 더할 뿐이기 때문이다. 자비관(慈悲觀)을 생각하는 것은 성냄의 병에는 좋은 대치방법이 되지만탐욕의 병에는 좋다고도 할 수 없고 대치하는 방법도 되지 않는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자심은 중생에게서 좋은 일을 구하고 공덕을 관찰하는 것인데 만일 탐욕이 있는 이가 좋은 일을 구하거나 공덕을 관찰한다면 탐욕이 더욱 늘..
○ 다음 글은 다음과 같은 블로그 열람 이용 약관을 승락하는 조건에서만 열람을 허용합니다. 다음 페이지의 약관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paran.com/thebest007/46436964 ////////////////////////////////// 다음 이하를 열람하시는 이후부터 위 폐이지의 약관에 동의 승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불교의 가르침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을 끊는 것이 출발이고 종착점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세간에서 가지가지 희망을 추구하고 살아가는 입장에서 볼 때 이런 불교의 가르침이 그런 희망을 성취시켜 주는데 도움이 되는가.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이돈문제, 사업, 부의 획득과증가, 명예,..
[ 요약 ] ○ 불교에서 말하는 공한 상태는 목적 상태인가 아닌가. ● 공함이 목적인가. 좋음이 목적인가. 이 논의는 우리가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을 한다고 할 때 왜 어려움과 힘듬을 참고 수행하는가에 관련된 논의이다. 밖에서 보기에도 힘들어 보이는 여러 수행을 열심히 행하고 있고, 또 행하고자 하는데 그것은 최종적으로 무엇을 얻기 위해서 그렇게 하는 것인가. 왜 힘들게 어떤 수행을 하는가. 수행을 직접 하는 입장이건 이를 바라보는 입장이건 이런 의문이 생길만한다. 여기에 대한 결론적 내용은 쉽게 말해 수행을 안 하는 것보다 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오래오래 좋고 좋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을 하는 것이다라고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 그런데 이런 수행과 관련하여 불교에서 강조되는 기본적 ..
● 불교의 수행은 어렵다. 원칙적으로 집을 버리고 나와 출가 수행을 해야 하고 세간의 가지가지 탐욕과 유혹을 끊어야 하고,.. 그런데 그것은 무엇을 위함인가. 석존이 그렇게 해서 이룬 상태를 겉으로 보자. 가진 재물도 없다. 호화로운 옷도 없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도 아니고 집도 없고 매일 매일 구걸하여 먹고 다니고, ... 그래서 외관상 거지와 다르다 하기 힘들다. 그에 비해 왕은 어떤가. 수많은 군사를 거느리고 호화로운 옷 맛있는 음식 아름다운 시녀에 둘러싸여 호사를 누린다. 그 중간의 세상 사람들도 엇비슷하다. 탐욕을 쫒고 부와 명예 권력을 추구하고 살아간다.. 이 가운데 어떤 것이 더 나은 것인가. 그리고 그것은 무엇을 향해 가고 무엇을 얻기에 그런 것인가.. 이와 같은 질문은 불교의 수행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