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마경
- 유가사지론
- 유마힐소설경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정법화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금강삼매경론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백유경
- 종경록
- 수능엄경
- Japan
- 증일아함경
- 묘법연화경
- 대지도론
- 마하반야바라밀경
- 무량의경
- 가섭결경
- 대방광불화엄경
- 장아함경
- 마하승기율
- 원각경
- 마명
- 방광반야경
- 대반열반경
- 대승기신론
- 잡아함경
- 중아함경
- 아미타불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2020/12 (36)
불교진리와실천
『불설고음경』 K0692 T0053 고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고음경』 ♣0692-001♧ 고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 2016_1008_131646_can_ct27 ○ 2016_1008_141300_can_ar45 ○ 2020_0525_185748_can_exc ○ 2018_0418_124902_can_ct27 ○ 2020_0606_183322_can_bw17 ○..
현량 [한문]現量 [범어]pratyakṣa-pramāṇa [티벳]rjes su dpag pa [영어]direct perception 인명(因明)의 3양(量) 중 하나. 직접적인 지각(知覺)에 의해서 사상(事象)을 인식하는 것. 색(色) 등의 모든 법을 분별하여 헤아리는 인식(認識) 작용을 가리킴. [동]진현량(眞現量).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현량 [한문]現量 인명(因明) 3량인 현량(現量)ㆍ비량(比量)ㆍ비량(非量)의 하나. 심식(心識) 3량의 하나. 비판하고 분별함을 떠나서 외경계의 사상(事象)을 그대로 각지(覺知)하는 것. 예를 들면, 맑은 거울이 어떤 형상이든 그대로 비치듯, 꽃은 꽃으로 보고, 노래는 노래로 듣고, 냄새는 냄새로 맡고, 매운 것은 매운대로 맛보고, 굳은 것은 굳은대로..
● 연구용 위키백과자료 스크랩 보관페이지 https://ko.wikipedia.org/wiki/불교_용어_목록_(ㄹ) 량[■편집] 량(量, 산스크리트어: pramāṇa)의 한자어 그대로의 뜻은 '헤아리다' 또는 '추측하다'이다.[1] 불교 용어로는 동사로 쓰일 때는 '헤아려 아는 것'을 뜻한다. 명사로 쓰일 때는 인식방법 또는 지식의 근거를 뜻한다.[2][3][4] 예를 들어, 정량(正量) 또는 정량(定量)은 지식의 바른 근거를 뜻한다.[5] 이러한 뜻은 일반 사전적인 뜻과는 다른데, 정량(定量)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일정하게 정하여진 분량' 또는 '양을 헤아려 정함'이다.[6] 후자의 경우, 보통 현량(現量) · 비량(比量) · 비량(非量)의 3량(三量) 또는 현량(現量) · 비량(比量) · 성교량(..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K1390 T1450 제1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1390-010♧ ○ 2019_1106_130624_can_BW25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55544_can_ab28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64427_can_exc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20_0905_114635_can_BW25 오대산 월정사 ○ 201..
『불설도조경』 K0701 T0078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도조경』 ♣0701-001♧ 도조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 2018_0419_140802_can_exc ○ 2016_1008_141550_can_ar18 ○ 2018_0419_140451_can_ar45 ○ 2020_0606_191221_can_bw17 ○ 2020_0606_180..
사선근 [한문]四善根 [범어]kuśalamūla [티벳]dge ba'i rtsa ba [영어]four good roots 수행 계위 중 네 가지. 난위(煖位), 정위(頂位), 인위(忍位), 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 등. 무루지(無漏智)의 견도(見道)에 이르기 전의 수행 단계.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사선근 [한문]四善根 사선근위(四善根位)라고도 함. 사가행위와 같음.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2018_1024_172952_nik_Ar28_s12 부여 고란사 ○ 2018_1023_161425_nik_AR2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0907_135734_can_ab41 양산 통도사 ○ 2019_1104_131657_can_bw0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