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하반야바라밀경
- 장아함경
- 원각경
- 아미타불
- Japan
- 정법화경
- 유마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방광불화엄경
- 마명
- 가섭결경
- 중아함경
- 반야심경
- 마하승기율
- 대승기신론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방광반야경
- 금강삼매경론
- 증일아함경
- 대반열반경
- 무량의경
- 수능엄경
- 유가사지론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지도론
- 백유경
- 유마힐소설경
- 잡아함경
- 종경록
- 묘법연화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2020/12 (36)
불교진리와실천
『종경록』 K1499 T2016 제5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종경록』 ♣1499-057♧ 제57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 2020_0525_185850_can_ct27 ○ 2018_0418_122424_can_ab20 ○ 2020_0525_165704_can_ab33 ○ 2020_0525_181122_can_exc ○ 2020_0606_174112_can_bw17 ○..
종경록 위키백과 스크랩 >>> 2020_1225_1624 ~ https://ko.wikipedia.org/wiki/종경록 종경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불교 교의와 용어[보이기] 인물[보이기] 역사와 종파[보이기] 경전[보이기] 성지[보이기] 지역별 불교[보이기] v t e 오가칠종 간화선·묵조선당나라 618~907임제종 867 위앙종 891 조동종 901 오대십국 907~960운문종 949 법안종 958 송나라 960~1279황룡파 1069 양기파 1046 묵조선 1157 간화선 1163 v t e 《종경록(宗鏡錄)》은 오대(五代)로부터 북송(北宋)에 걸친 선승(禪僧)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저작으로, 100권으로 되어 있다.[1] 영명연수는 선종5가..
『종경록』 K1499 T2016 제9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종경록』 ♣1499-094♧ 제94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본문 ◎[개별논의] ○ 2016_1008_140826_can_ct27 ○ 2018_0419_141754_can_ar45 ○ 2016_1009_160419_can_exc ○ 2020_0525_190902_can_ar29 ○ 2020_0606_19372..
『불설대방등수다라왕경』 K0264 T0575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대방등수다라왕경』 ♣0264-001♧ 수다라왕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 2018_1022_173641_can_exc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20_1017_150139_can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114_132035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04908_..
『불설보살행방편경계신통변화경』 K0162 T0271 상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보살행방편경계신통변화경』 ♣0162-001♧ 상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 2020_0606_190916_can_ct15 ○ 2016_1008_141236_can_ct27 ○ 2020_0525_174616_can_exc ○ 2020_0606_175348_can_ar4 ○ 2018_0418_..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破僧事▶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한문]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破僧事 【범】Vinayavastu. 20권. K-1390, T-1450. 당(唐)나라 때 의정(義淨)이 700년에서 711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줄여서 『비나야파승사』라 한다. 소승 부파의 하나인 설일체유부의 율장으로서 다른 율장의 파승 건도에 해당한다. 설일체유부의 광율 17사 중의 하나이다.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2020_1017_160929_can_CT28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5822_can_ct35 삼각산 화계사 ○ 2020_0906_122336_can_AB7 천축산 불영사 ○ 2019_1106_102239_can_CT38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