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마힐소설경
- 중아함경
- 백유경
- 유가사지론
- 무량의경
- 종경록
- 방광반야경
- 아미타불
- 수능엄경
- 대방광불화엄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반야심경
- 마명
- 원각경
- 대지도론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마하승기율
- 가섭결경
- 금강삼매경론
- Japan
- 장아함경
- 정법화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승기신론
- 증일아함경
- 유마경
- 묘법연화경
- 잡아함경
- 대반열반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선악업과위 [한문]善惡業果位 아뢰야식(阿賴耶識) 3위(位)의 1. 선ㆍ악의 업에 의하여 받은 지위. 비롯이 없는 범부로부터 10지(地)의 맨 나중인 금강심보살까지, 2승이면 무학과(無學果)의 성자(聖者)까지의 제8식을 말함. 이 지위에서는 제8식을 비파가식(毘播迦識)이라 함.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대승불교의 보살승의 보살 10지의 수행계위에서 보면,제1위인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는 범부에서 제7지 원행지 보살까지의 계위에,제2위인 선악업과위(我愛執藏現行位)는 제8지 부동지 보살에서 제10지 법운지 보살(엄밀히는, 등각의 금강심 보살[10])까지의 계위에,제3위인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는 보살 10지를 초월한 부처의 계위에 해당한다.[1][2][7][8][9]● From 한국위키 ○..
생무성 [한문]生無性 [범어]utpatti-niḥsvabhāvatā [티벳]skye ba ngo bo nyid md pa [영어]arising without nature 3무성(無性)의 하나. 인연 화합으로 생겨나는 모든 법은 가유(假有)이기 때문에 그 자성(自性)이 없다는 것.[원]생무자성(生無自性).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생무성 [한문]生無性 또는 생무자성(生無自性). 인연 화합으로 생긴 것은 가유(假有)의 존재이므로 실성(實性)이 없는 것을 말함. ● From 대만불광사전 생무성 【生無性】 p2068-下≫ 梵語 utpatti-niḥsvabhāvatā 又作 無生性․ 諸法無生體性․ 生無自性性. 爲法相宗所立三無性之一. 生, 緣生..
생기인 [한문]生起因 12인연 중 앞의 7을 견인인(牽引因)이라 하고, 애(愛)ㆍ취(取)ㆍ유(有)의 3은 생(生)ㆍ노사(老死)의 고과(苦果)를 내는 원인이라 하여 생기인이라 함.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대만불광사전 생기인 【生起因】 p2067-中≫ 爲二因之一, 十因之一. 又作 生因. 指依現世惡․ 善之業因而起未來之苦․ 樂果報. 此與「牽引因」皆指種子能生自果之作用, 其中就種子於現在具有生果作用言, 稱爲生起因. (參閱「二因」193․ 「十因」418) ● From 法相辭典 生起因 ★瑜伽五卷十頁雲: 依有潤種子因依處, 施設生起因。 所以者何?由欲色無色界系法, 從各自種子生。 愛、 名能潤, 種、 有所潤。 由此所潤諸種子故;先所牽引各別自體, 當得生起。 如經言;業、 為感生因, 愛、..
삼전법륜 [한문]三轉法輪 [영어]three turns of truth-wheel [1]석가모니가 녹야원에서 4제(諦)의 법을 설한 것을 시전(示轉), 권전(勸轉), 증전(證轉)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 1. 고(苦), 집(集), 멸(滅), 도(道) 등 4제(諦)를 가르쳐 준 시전(示轉) 법륜(法輪). 2. 고제(苦諦)를 아는 지(知), 집제(集諦)를 알고 마땅히 끊는 단(斷), 멸제(滅諦)를 증득하는 증(證), 도제(道諦)를 실천 수행하는 수(修) 등을 대치시켜서 수행을 권하는 권전 법륜. 3. 4제(諦)를 통하여 깨달음을 증득하게 됨을 가르쳐 준 증전법륜(證轉法輪). [abr]약}삼전(三轉) , 삼법륜(三法輪). [2]시전, 권전, 증전 등 세 가지 3전을 각각 견도(見道), 수도(修道), ..
삼성 [한문]三性 [영어]the three kinds of nature [1]선(善), 악(惡), 선도 악도 아닌 무기(無記) 등 세 가지. [2]모든 법(法)의 특성을 편계소집성(遍計所執相), 의타기성(依他起性), 원성실성(圓成實性) 등 세 가지로 나눈 것.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삼성 [한문]三性 법상종에서 사ㆍ이ㆍ미ㆍ오(事理迷悟)의 일체 모든 법을 그 성질상으로 보아 셋으로 나눈 것. (1)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이리 저리 억측을 내어 집착하는 성(性)이란 뜻. 범부의 미망(迷妄)한 소견으로 실체가 있는 것처럼 잘못 아는 일체의 사물. (2) 의타기성(依他起性). 다른 인연에 의하여 생긴 만유(萬有). (3) 원성실성(圓成實性). 현상의 본체. 곧 원만ㆍ성취ㆍ진실한 진여를 말함. ..
삼무성 [한문]三無性 [범어]trividhā niḥsvabhāvatā [티벳]ngo bo nyid med pa rnam pa gsum [영어]threefold absence of self-nature 상무자성(相無自性), 생무자성(生無自性), 승의무자성(勝義無自性) 등 존재의 특성 세 가지를 가리킴.[opp]반}삼자성(三自性).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한문]三無性 법상종에서 미(迷)ㆍ오(悟)의 일체 모든 법을 유(有)의 관점으로 변계(遍計)ㆍ의타(依他)ㆍ원성(圓成)으로 나눔에 대하여, 공(空)의 관점으로 3무성을 세우는 것. (1) 상무성(相無性).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 것은 미정(迷情)의 앞에 나타나는 한 그림자에 불과한 것이니, 노끈을 잘못 보아 뱀으로 여기지만, 뱀의 자성이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