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방광반야경
- 정법화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묘법연화경
- 마하승기율
- 가섭결경
- 마명
- 대반열반경
- 금강삼매경론
- 중아함경
- 증일아함경
- 장아함경
- 아미타불
- Japan
- 대지도론
- 잡아함경
- 유마힐소설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유가사지론
- 대승기신론
- 무량의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유마경
- 백유경
- 반야심경
- 대방광불화엄경
- 종경록
- 원각경
- 수능엄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삼명 [한문]三明 [팔리]ti-vijjā [범어]tri-vidyā [영어]three awarenesses 삼명[한문]三明[팔리]ti-vijjā[범어]tri-vidyā[영어]three awarenesses 세 가지의 신통. 숙명통(宿命通), 천안통(天眼通), 누진통(漏盡通), 또는 숙주지증명(宿住智證明), 사생지증명(死生智證明), 누진지증명(漏盡智證明) 등이라고도 함. 아라한의 경우에는 3명(明), 부처의 경우에는 3달(達)이라 하여 구분하기도 함.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삼명 스크랩 불기2564-06-08 삼명[■편집] 1. 3명(三明, 산스크리트어: tri-vidya, 팔리어: ti-vijjā, 영어: three insig..
살가야견 [한문]薩迦耶見 [범어]satkāya-dṛṣti 【범】satkāya-darśana ;또는 satkāya-dṛṣṭi 5견(見)의 하나. 신견(身見)이라 번역. 살가야달리슬치(薩迦耶達利瑟致)라 음역. 5온으로써 가(假)로 화합한 것을 실(實)의 자아(自我)가 있다고 집착하며, 내 몸에 부속한 모든 물건은 일정한 소유주가 없는 것인데, 아(我)의 소유물이라고 집착하는 견해. 범어에 가야는 신(身), 달리슬치는 견(見), 살은 유부(有部)에서는 유(有)의 뜻, 경부(經部)에서는 허위(虛僞), 혹은 괴(壞)의 뜻, 대승 유식가에서는 이전(移轉)의 뜻이라 함.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살가야는 사트카야의 음역. 5견(見)의 하나. ⇒ [원][k]유신견[c]有身見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
수다원 [한문]須陀洹 [팔리]sota-āpanna [범어]śrota-āpanna [티벳]rgun du zhugs pa [영어]the fruit of entering the stream 예류과의 원어인 소타 아판나의 간략한 음역.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예류과(預流果)의 범명(梵名), 무루도(無漏道)에 처음 참례하여 들어간 지위. ⇒제일과(第一果) 성문 4과(果)의 하나.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관련키워드] 수다원,須陀洹,sota-āpanna,śrota-āpanna,rgunduzhugspa,the fruit of entering the stream,제일과第一果,성문4과,예류과預流果,예류預流,입류入流,지류至流․,역류逆流,수루다아반나須氀多阿半那․,솔로타아발낭窣路陀阿鉢囊,솔로다아반..
[한문]四定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사정 [한문]四定 유식종에서 가행위(加行位)의 4선근(善根)을 닦을 때에 그 체(體)인 명득정(明得定)ㆍ 명증정(明增定)ㆍ 인순정(印順定)ㆍ 무간정(無間定)을 말함. (1) 명득정은 난위(煖位)에서 하품(下品) 심사관(尋伺觀)으로 대경의 공무(空無)함을 관하는 정(定). (2) 명증정은 정위(頂位)에서 상품 심사관으로 대경의 공무함을 관하는 정. (3) 인순정은 인위(忍位)에서 하품 여실관(如實觀)을 일으켜 대경의 공무함을 인정하고, 뒤에 자기 심식(心識)의 공무함을 관하여 인정하는 정. (4) 무간정은 세제일위(世第一位)에서 상품 여실지(如實智)를 일으켜 자기의 심식이나, 그 대경이 모두 공무함을 인가(印可) 인허(認許)하는 정. 여기서 바로 견도(見道..
사여의족[한문]四如意足[abr]약}사여의(四如意). ⇒ [원][k]사신족[c]四神足 사신족 [한문]四神足 [팔리]cattāro-iddhi-pādā [범어]catvāra-ṛddhipādā [티벳]rdzu 'phrul gyi rkang pa bzhi [영어]four supernatural powers 네 가지의 초자연적인 능력. 또는 자재로운 능력을 얻는 근거가 되는 것. 욕(欲), 염(念) 또는 심(心), 정진(精進), 사유(思惟) 등 네 가지를 수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철시(徹視)할 수 있는 천안통(天眼通), 철청(徹聽)할 수 있는 천이통(天耳通), 타인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타심통(他人通), 어느 곳이든지 아무런 장애 없이 갈 수 있는 비행(飛行)의 능력을 갖는 신족통(神足通) 등 자유 자재의 불가사..
다음 페이지에 합침 => ‡사무애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