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하승기율
- 대방광불화엄경
- 수능엄경
- 증일아함경
- 백유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유마힐소설경
- 원각경
- 대반열반경
- 가섭결경
- 잡아함경
- 묘법연화경
- 유마경
- 대승기신론
- 마명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무량의경
- 장아함경
- 금강삼매경론
- 유가사지론
- 반야심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종경록
- 방광반야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아미타불
- 정법화경
- Japan
- 대지도론
- 중아함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부정취 [팔리]aniyata-rāsi [범어]aniyata-rāśi [티벳]ma nges pa'i tshogs [영어]uncertain aggregate 중생의 근기를 구분하는 3취의 하나. 올바름과 그릇됨의 어느 쪽으로도 결정되어 있지 않아, 성불할 수도 있고 악도에 떨어질 수도 있는 중생. 정정취와 사정취 이외의 모든 범부.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부정취 [한문]不定聚 3정취(三定聚)의 하나. 향상(向上) 진보하여 이상경지(理想境地)에 도달할는지, 타락 퇴보하여 악도에 떨어질는지 결정이 없는 것. ● From 대만불광사전 부정취 【不定聚】 p974-中≫ 梵語 aniyata-rāśi, 巴利語 aniyata-rāśi. 又作 不定性..
본래자성청정열반 [한문]本來自性淸淨涅槃 4종 열반의 하나. 온갖 법의 실성(實性)인 진여(眞如)의 이체(理體). 그 자성이 맑고 깨끗하고 때가 없어 한량없는 덕용(德用)을 갖추었고, 불생 불멸하여 맑고 고요하므로 자성청정 열반이라 함.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이 문서는 열반의 의미에 관한 것입니다.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부는 것을 멈추다 · (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 · (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निर्वाण 니르바나(팔리어: निब्बान 니바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다. 뜻을 따라 번역하여 '반열반(般涅槃)’이라고도 하며, ‘멸(滅)·적멸(寂滅..
마하살 [한문]摩訶薩 [범어]mahāsattva [티벳]sems dpa' chen po [영어]a great being ; hero 대사(大士)의 원어인 마하삿트와의 음역.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범】Mahāsattva 마하살타(摩訶薩埵)의 준말. 대유정(大有情)ㆍ대사(大士)라 번역. 보살의 미칭(美稱). 보살은 자리(自利)ㆍ이타(利他)의 대원(大願) 대행(大行)을 가진 사람이므로 마하살이라 하며, 부처님을 제하고는 중생 가운데서 맨 윗자리에 있으므로 대(大)를 더하여 대사ㆍ대유정이라 한다.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대사(大士)는 산스크리트어 마하사트바(mahāsattva)의 ..
반야바라밀다 [한문]般若波羅蜜多 [팔리]paññā-pāramitā ; paññā-pāramī [범어]prajñā-pāramitā [티벳]shes rab kyi pha rol tu phyin pa [영어]the perfection of wisdom 다른 음역으로는 반라야바라밀(般羅若波羅蜜), 의역하여 혜도피안(慧到彼岸), 지도(智度), 지도무극(智度無極), 명도(明度), 명도무극(明度無極). 혜(慧)바라밀, 지혜(智慧)바라밀이라고도 한다. 6바라밀다 또는 10바라밀다의 하나로서 완전한 지혜, 지혜의 완성. 반야라는 지혜로써 생사의 바다를 건너 열반이라는 피안에 도달하므로 반야바라밀이라고 한다. 반야경에서는 부처의 깨달음을 구하는 동시에 중생의 구제를 서원(誓願)하는 보살의 수행 덕목인 6바라밀다 중에서 가..
보리심 [한문]菩提心 [범어]bodhi-citta [티벳]byang chub (kyi) sems [영어]the awakening-mind 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려는 마음. 이 마음의 내용은 “중생은 모두 다 제도하리라, 번뇌는 모두 다 끊으리라, 법문은 모두 다 배우리라, 불도는 모두 다 증득하리라”는 사홍서원. 보살은 광대한 자리(自利)ㆍ이타(利他)의 서원을 세우고, 3아승기 100대겁 동안 6도(度) 등의 행을 닦아야만 불과를 얻는다 함.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더없이 높고 평등한 깨달음의 마음. 불과(佛果)를 얻기 위해 불도를 수행하는 마음. [동]무상도심(無上道心) , 무상도의(無上道意) , 도심(道心). [원]아누다라삼막삼보리심(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아뇩다..
보리 [한문]菩提 [팔리]bodhi [범어]bodhi [티벳]byang chub [영어]enlightenment 보디의 음역. 정각(正覺)의 지혜. 불(佛), 연각(緣覺), 성문(聲聞) 등이 각각 그 능력에 따라 얻은 깨달음의 지혜. 그 중에서도 특히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아뇩다라 삼막 삼보리’라고 하는데, 이는 더할 나위 없는 최상 최고의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불교에서는 보리를 얻는 것은 삶을 완성하는 것이며, 더 이상 태어나지 않고 윤회의 흐름을 끊는 것이며, 일체지(一切智)를 얻어서 열반의 기쁨에 젖는 것이라 한다. [동]각(覺) , 지(智) , 지(知) , 도(道) , 불지(佛智).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보리 [한문]菩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