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무량의경
- 대지도론
- 백유경
- 마하승기율
- 중아함경
- 종경록
- 유마힐소설경
- 금강삼매경론
- 마명
- 대방광불화엄경
- 증일아함경
- 잡아함경
- 원각경
- 가섭결경
- 장아함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방광반야경
- 대반열반경
- 묘법연화경
- 정법화경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아미타불
- 유가사지론
- Japan
- 유마경
- 반야심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대승기신론
- 수능엄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불교용어연구 (191)
불교진리와실천
구식 [한문]九識 [영어]nine sorts of consciousness 유식설에서 주장하는 8식, 즉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 등에 아마라식(阿摩羅識)을 더한 것. 진제(眞諦)를 비롯한 구역가들이 9식설을 내세우는 반면, 현장을 비롯한 신역가들은 8식설을 내세운다. 8식설에 따르면 아마라식은 알라야식의 일면에 불과하다.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구식【九食】 9종류 식사 단식(段食)촉식(觸食) 사식(思食)․ 식식(識食)․ 선열식(禪悅食)․ 법희식(法喜食) 원식(願食)․ 념식(念食) 해탈식(解脫食)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구식 구식 [한문]垢識 범부의 심식(心識..
괴 [한문]愧 [팔리]ottāpin [범어]apatrapā ; apatrāpya [티벳]khrel yod pa [영어]ashamed 잘못된 행위를 후회함. 자신이 저지른 죄과를 타인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심리 작용. 타인을 보고서 자신의 죄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것.[opp]반}무괴(無愧). ⇒ [원][k]참괴[c]慚愧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괴 [한문]愧 【범】apatrāpaya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하나. 11선심소(善心所)의 하나. 심소(心所)의 이름. 허물을 부끄럽게 여기는 심리작용. ● From 대만불광사전 괴 【愧】 p5463-中≫ 梵語 apatrāpya. 心所之名. 「無愧」之對稱. 俱舍七十五法之一, 唯識百法之一. 怖畏己過..
고집멸도 [한문]苦集滅道 ● From Korean Dic 고집멸도 고집멸도(苦集滅道)[―짐―또][명사]불교의 근본 교리를 나타내는 말. ‘고(苦)’는 인생의 괴로움인 사고팔고(四苦八苦), ‘집(集)’은 괴로움의 원인인 번뇌의 모임, ‘멸(滅)’은 그 번뇌에서 벗어난 열반, ‘도(道)’는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방법인 팔성도(八聖道)를 이름. 사제(四諦). 사제 [한문]四諦 [팔리]cattāro ariyasaccāni [범어]catur-āryasatya [티벳]phags pa'i bden pa bzhi [영어]the four truths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고집멸도 [한문]苦集滅道 ⇒사제사제(四諦)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고집멸도 【苦集滅道】卽四聖諦. 見四聖..
계외사교 [한문]界外事敎 ○ [pt op tr]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계외사교 계외사교 [한문]界外事敎★★ 천태 4교(敎)의 하나인 별교(別敎). 이미 3계의 번뇌를 끊은 정토(淨土)의 보살이 아직 중도실상(中道實相)의 이치를 깨닫지 못한 까닭에 방편으로 만유의 차별한 현상을 말하여 깨닫게 하므로 계외의 4교라 함.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계외사교 【界外事敎】指天台宗所說的別敎. 別敎的菩薩, 迷中道之理重, 故要分別一切事物以方便悟理, 謂之界外事敎. →3273 ● From 대만불광사전 계외사교 【界外事敎】 p3892-中≫ 指天台宗所立化法四敎中之別敎. 此敎之菩薩迷中道之理重, 故分別無量之事法, 以之爲方便而使悟理, 稱爲界外事敎. 法華經玄義卷三上(大三三․ 七一○下): 「別敎佛與菩薩, 俱知界外十..
계금취견 [한문]戒禁取見 [범어]śīla-vrata-parāmarśa [티벳]tshul khrims dang brtul zhugs mchog tu ’dzin pa [영어]the view of attachment to discipline ○ [pt op tr]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계금취견 [한문]戒禁取見 [범어]śīla-vrata-parāmarśa [티벳]tshul khrims dang brtul zhugs mchog tu ’dzin pa [영어]the view of attachment to discipline 5견, 10수면(隨眠)의 하나. 계금(戒禁)에 대한 그릇된 소견과 집착. 예컨대 바른 원인이 아닌 것을 바른 원인이라고 집착하거나, 정도(正道)가 아닌 것을 정도라고 집착하는 사견..
경량부 [한문]經量部 [범어]sauntrāntika ; saṅkrāntika [티벳]mdo sde smra ba’i sde [한문]經量部 Sautrāntika 소승 20부의 하나. 줄여서 경부(經部)라 한다. 상좌부의 1파, 근본부ㆍ지말부가 있다. 근본부는 불멸 후 1세기에 났던 구마라타(鳩摩羅馱)를 시조로 하고, 지말부는 제4세기에 났던 실리라다(室利羅多)를 시조로 한다. 그 주장은 근본부는 색(色)과 심(心)이 서로 종자를 훈습(薰習)한다는 말을 세워 색ㆍ심이 없어질 때는 그 종자를 서로 보존하여, 물질과 정신이 함께 도와서 생사가 상속된다 하고, 지말부는 다시 한걸음 나아가 영겁(永劫)에 불멸하는 세의식(細意識)을 세워서 색온(色蘊)을 제한 수(受)ㆍ상(想)ㆍ행(行)ㆍ식(識)이 화합해서 이루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