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증일아함경
- 무량의경
- 가섭결경
- 정법화경
- 유가사지론
- 마명
- 대지도론
- 종경록
- 중아함경
- 방광반야경
- 묘법연화경
- 대승기신론
- 대반열반경
- 수능엄경
- 유마힐소설경
- 장아함경
- 잡아함경
- 마하승기율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
- 대방광불화엄경
- 대반야바라밀다경
- Japan
- 반야심경
- 원각경
- 금강삼매경론
- 백유경
- 대방광불화엄경60권본
- 아미타불
- 유마경
- 마하반야바라밀경
- Since
- 2551.04.04 00:39
-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 ॐ मणि पद्मे हूँ
목록분류 전체보기 (3098)
불교진리와실천
작성자 Prajna Citta : 손으로 때리는 것 말로 욕하고 비난하는 것 마음으로 미워하고 증오하는 것 이 가운데 남에게 아픔을 주지 않는 것은 없다. 사람들은 마음으로 미워하고 증오하는 것은 직접 손으로 때리는 것보다는 덜하지 않는가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손으로 때리거나 말로 욕하고 비난하는 것은 사실 미워하는 마음이 있을 때 그 미움 때문에 행하는 행동이다. 따라서 늘 마음안의 내용이 가장 중요하다. 나머지는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집착하고 사랑하는 것도 비슷하고, 또 반대로 미워하는 것도 엇비슷하다. 따라서 이들이 얽혀서 서로 갈등을 겪고 충돌하고 해치는 모습의 원인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늘 생각해야 할 바는 마음의 탐욕과 분노 어리석음을 없애고, 말도 ..
작성자 Prajna Citta : web: http://blog.paran.com/buddhism007/45322587
[ 요약 ]○ [반야바라밀다경에서의 수행방법과 목적] 대반야바라밀다경 제 402권 K.1(1-4), T.220(5-7) 삼장법사 현장 한역 김월운 번역 2. 환희품(歡喜品) [ 요약 ]○ 만일 보살마하살이 온갖 법에서 온갖 모습을 평등하게 깨닫고자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다를 배워야 하느니라. 그때 세존께서 모든 세계에 온갖 인연 있는 무리가 모두 모여 오되, 모든 하늘·마귀·범왕(梵王)과 모든 사문과 바라문과 건달박(乾達縳)과 아소락(阿素洛)과 모든 용신(龍神)과 사람인 듯 하면서 사람 아닌 것[人非人]들과 보살마하살들로서 마지막 몸[最後身]에 머물려서 높은 지위를 이을 만한 이들이 모두 모인 것을 아시고 곧 구수(具壽) 사리자(舍利子)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온갖 법에서 온갖 모습을 평등하..
마음이 늘 남과 싸우는 상태에 있는 경우가 있다. 늘 전쟁을 하는 상태에서 평온함이 깃들기 힘들다. 싸움은 한편으로는 상대가 밉기 때문이고 화가 나기 때문인데 그 미움과 화는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탐욕이 성취되지 못하거나 침해 받아서 일어난다. 그래서 먼저 자신의 탐욕이 일으키는 갈증을 스스로 끊거나 해소해서 벗어나야 한다. 원칙적으로는 자신의 실현되지 않은 탐욕과 그 대상의 정체를 정확히 보고 그것이 갖는 더러움을 보고 그 탐욕을 끊는 것이 좋다. 갈증이 그렇게 해서 사라지지 않으면, 오히려 성취된 끝에 가서 그 끝에서부터 시작하여 벗어나오는 것도 좋다. 결국 이 모든 것의 성취나 벗어남이 모두 자재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 묶이고 남도 자신의 묶음으로 인해 그 묶임에 끌어 당기게 만든다. 그래서..
교만과 질투는 둘 다 번뇌의 마음이다. 교만하여 잘난 척하거나 뽐내는 사람이 없으면 질투를 일으키는 사람도 적을 것이다. 반대로 남에게 질투의 마음을 일으키는 이가 없다면, 잘난 척하거나 뽐을 내도 관계없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은 본래 자신이 잘난 척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고 싶어하고, 자신의 나은점을 드러내 뽐내고 싶어한다. 또 누군가 남이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고 뽐내면 또 이를싫어하고 질투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된다. 이 둘 가운데 누가 문제인가 하면 둘 다 문제라고 말하게 된다. 세상에 질투하는 사람이 없다면, 또는 세상에 잘난 척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면, 이렇게 가정하거나, 또는 아주 특수하게 그런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고, 판단하면 적절하지 않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스스로 자만해서도 안되고 남에게..
불교를 공부하다 보면 결국 이것을 통해 무엇을 어떻게살아야 하나 이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들이 결국 나에게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으라고,, 살아야 한다고하는 것인가 가 궁금해질 때가 많다.. 얻을 수 없다고도 말하고, 열심히 부지런히 행해야 한다고도 말하는데 그런 생각이 오갈 때 생각하게 되는 금강경구절이 있다.. 결국 압축하면 해야 할 일은 보시와 제도이다. 보시란 베풀라는 뜻이고, 다른 이에게 재물이나, 법(진리..가르침)을 베풀고 , 그리고 다른이의공포 두려움을없애주는 행을 말한다. 그 사이의 우열은 보통 재보시보다는 법보시가 낫고 법보시보다는 무외시가 낫다고 보통 말한다. 제도란 말은 다시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데 상대를 구제해 저 언덕으로 건네 준다..그런 의미로 생각된다. 구제는 어떤 상태인가 생..